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97

[안드로이드] 색상코드에 알파값(투명도) 추가하기 - 전체 투명도 HEX 색상코드 포함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색상을 정의할 때 자주 사용하는 형식은 16진수 색상 코드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RRGGBB 형식으로 색상을 표현하지만, 알파값(투명도)을 추가해 투명한 색상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파값을 추가한 색상 표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안드로이드 색상 코드 기본 형식안드로이드에서 색상은 일반적으로 16진수 값으로 표현됩니다. 기본적으로 #AABBCC 형식을 따릅니다.#AA: 빨간색(Red)#BB: 초록색(Green)#CC: 파란색(Blue)하지만, 때로는 색상에 투명도를 적용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16진수 색상 코드에 알파값(Alpha)을 추가해야 합니다. 2. 알파값을 포함한 색상 코드 형식알파값은 색상의 투명도를 의미하며, 00 (완전 .. 2024. 12. 21.
C언어 char 타입과 ASCII 코드 완벽 이해 - 전체 아스키 코드 표, 대소문자 변환 C언어에서 char 타입은 문자를 다룰 때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타입의 진정한 매력은 문자와 숫자(ASCII 코드)를 모두 다룰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r 타입의 개념과 ASCII 코드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char 타입의 기본 개념char는 1바이트(8비트) 크기의 데이터 타입으로, 주로 문자(character)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정수형 데이터로 저장되며, 문자에 매핑된 숫자 값(즉, ASCII 코드)으로 동작합니다.char의 주요 특징메모리 크기: 1바이트 (8비트)값의 범위:signed char: -128 ~ 127unsigned char: 0 ~ 255용도: 문자 저장 및 처리, 정수형 연산 가능 2. ASCI.. 2024. 12. 21.
C 언어의 모든 데이터 타입: 범위, 메모리 크기, 개념 완벽 정리 C 언어는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유연한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 언어의 주요 데이터 타입 중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데이터 타입의 개념, 메모리 크기, 값의 범위를 이진수를 활용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정수형 데이터 타입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숫자를 정수로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부호 있는 타입과 부호 없는 타입이 있으며, 각각의 범위는 비트(bit)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정수형 데이터 타입 표타입메모리 크기(byte)범위설명char1-128 ~ 127 또는 0 ~ 255문자 저장, ASCII 사용short2-32,768 ~ 32,767작은 정수 저장int4-2,147,483,648 ~ 2,147,483,647기본 정수형long4 또는 8플랫폼에 따라 다.. 2024. 12. 21.
메모이제이션을 통한 성능개선 (3) - DFS DFS(Depth First Search)는 그래프 탐색 및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에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을 활용하면 중복 계산을 제거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FS와 메모이제이션의 결합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C, Java, Python 예제 코드와 함께 성능 비교를 통해 차이를 분석하겠습니다.1. DFS와 메모이제이션이란?DFS (Depth First Search)깊이 우선 탐색으로, 그래프의 한 경로를 끝까지 탐색한 뒤 다른 경로를 탐색합니다.백트래킹과 결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메모이제이션계산한 값을 저장하여 동일한 계산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입니다.DFS와 결합하면 중복된 상태를 다시 .. 2024. 12. 21.
반응형